티스토리 뷰
[부동산 투자전략] “결혼 후 1세대 2주택, 양도세 중과 피할 수 있을까?”2026년 중과세 유예 종료와 결혼 5년 특례, 헷갈리지 말고 정확히 알자!
Mr. Kim pro 2025. 7. 17. 13:23안녕하세요, 부동산 세금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정말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주제,
"결혼 후 부부가 각각 아파트를 가지고 있을 때, 양도세는 어떻게 적용될까?" 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특히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가 2026년 5월 9일 종료된다는 뉴스와 함께
“우리도 세금 더 내야 하는 거 아니야?” 하고 걱정하신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결혼한 부부에게는 ‘결혼 5년 이내 한정’으로 적용되는 특례가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다음 3가지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2026년까지 유예되는 다주택자 중과세는 무엇인지
- 결혼 후 1세대 2주택자가 받는 세금 혜택
- 실전 전략: 언제까지 팔아야 세금 아끼는지
✅ 1. 양도세 중과 유예란? (2026년 5월 9일까지 적용)
먼저 개념부터 짚고 넘어갈게요.
예전에는 집을 2채 이상 가진 사람(다주택자)이 집을 팔면,
양도차익에 최대 30%포인트나 세금이 추가로 붙었어요.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후,
경직된 주택 거래 시장을 풀기 위해 2022년부터 한시적으로 중과세를 유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유예 기한은 2026년 5월 9일까지로 확정되어 있어요.
즉, 이 기간 내에 다주택자가 집을 팔면
✅ 중과세 없이 기본세율(6~45%)만 적용됩니다.
👩❤️👨 2. 결혼 후 1세대 2주택, 예외가 있다?
이제부터 본론이에요.
예를 들어,
- 2023년에 결혼했고
- 남편은 A아파트, 아내는 B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할게요.
이 경우, 부부가 1세대 2주택자가 되죠.
보통이라면 다주택자로 간주되어 중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세청에서는 혼인으로 인해 1세대 2주택이 된 경우, 결혼 후 5년 이내에 한 채를 팔면 중과세를 면제해주고 있어요.
이걸 **"결혼 5년 특례"**라고 부릅니다.
✅ 즉, 결혼 후 5년 이내에 집 한 채만 팔면,
✅ 중과세 없이 기본세율로 세금 낼 수 있다는 뜻이죠!
⏰ 3. 그럼 우리는 언제 팔아야 유리할까?
이 부분이 헷갈리기 쉬운데, 핵심은 아래 표로 요약할 수 있어요.
상황 | 세금 적용방식 | 설명 |
결혼 후 5년 이내 | 기본세율 | 중과세 면제 (일시적 2주택 인정) |
결혼 후 5년 이후 | 중과세 대상 | 1세대 2주택으로 간주됨 |
단, 2026년 5월 9일까지 | 중과세 유예 | 모두에게 중과세 면제 |
즉, 당신이 2023년에 결혼했으면 2028년까지는 언제 팔든 중과세는 걱정 없어요.
심지어 2027년에 팔아도 OK!
왜냐하면 “결혼 5년 특례” 덕분이죠.
그런데 왜 많은 부동산 유튜브나 기사에서는
“무조건 2026년 5월 9일 전에 팔아야 한다”고 강조할까요?
그건 대부분의 다주택자에게는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2026년 5월 9일 이후부터 중과세가 부활되기 때문이에요.
🔍 4. 실전 전략: 우리는 이렇게 대응하면 됩니다
당신이 결혼 후 각자 집을 보유한 상황이라면 이렇게 하세요.
1️⃣ 2028년 전까지 한 채를 매도
→ 결혼 5년 이내이므로, 중과세 없이 세금 절약 가능!
2️⃣ 시장 상황을 보며 여유 있게 매도 시점 선택
→ 꼭 2026년 5월 이전에 급하게 팔 필요는 없어요.
3️⃣ 세제 개편 이슈 꾸준히 모니터링
→ 만약 유예가 조기 종료되거나 법 개정이 이뤄질 수도 있으니, 뉴스 체크는 필수!
4️⃣ 세무사 상담도 적극 활용
→ 고가 아파트, 큰 차익이 예상된다면 전문가 조언 꼭 받기!
🧾 결론: 2026년? 2028년? 정답은 "둘 다 맞습니다!"
요약해볼게요.
- 다주택자 전체에게는 2026년 5월 9일까지가 중과세 유예의 마지노선
- 그러나 당신처럼 2023년 결혼해 1세대 2주택이 된 부부는
→ 2028년까지 한 채만 팔면 중과세를 피할 수 있어요.
즉, 일반적인 중과 유예 종료와
결혼 특례 적용 기한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상황에 따라 맞춤 전략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결혼했더니 다주택자가 되어버렸어요…”
요즘 이런 분들 정말 많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세법은 예상보다 융통성이 있어, 잘 활용하면
수천만 원의 세금도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내 상황을 제대로 알고
언제 팔지, 어떤 전략으로 갈지
계획만 잘 세운다면,
세금도 줄이고 자산도 지킬 수 있어요.
앞으로도 이렇게 꼼꼼하게 투자자 맞춤 정보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궁금한 내용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시지로 남겨주세요 😊
'김프로의 투자전략 > 부동산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갭투자, 지금도 괜찮을까?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에서 갭투자 리스크 분석해보기!(feat. 아파트가격조회 사이트 아실) (1) | 2025.07.14 |
---|---|
[절세전략] 부동산 공동명의,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 (2) | 2025.07.12 |
지역 간 집값 양극화가 심화된다: 맞춤형 투자전략 & 유망 지역 분석 (3) | 2025.06.12 |
[부동산 투자전략] GTX 개통과 아파트 시세 변동 완벽 분석 (1) | 2025.06.11 |
[부동산 투자전략] 2025년 이후 부동산 투자전략 : 공급 적체와 재건축 기대 (5)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