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프로의 투자전략

[투자 팁] 은(銀) 투자 방법과 추천 종목 : 안전자산과 산업 수요를 고려한 투자 전략

by Mr. Kim pro 2025. 3. 15.

은(Silver)귀금속 투자산업적 수요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투자 자산이다. 금(Gold)과 마찬가지로 안전자산 역할을 하면서도 전기차, 태양광 패널,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이번 글에서는 은 투자 방법, 투자 전략, 그리고 추천 종목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본다.

 


1. 은(銀) 투자의 가치와 특징

1) 은 투자의 주요 특징

  • 산업적 수요 증가: 전기차, 태양광,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 소재로 사용됨
  • 귀금속으로서의 가치: 경제 위기 시 안전자산 역할
  • 높은 가격 변동성: 금 대비 변동성이 커 단기 투자 기회 제공
  • 금 대비 저평가 가능성: 금/은 비율이 높을 때 상대적으로 저평가될 가능성 있음

2) 금과 은의 차이점

구분                                금(Gold)                                                                은(Silver)

가격 변동성 낮음 높음
주요 용도 투자, 가치 저장 산업용, 투자
공급량 제한적 상대적으로 많음
투자 접근성 ETF, 현물, 선물, 금광 주식 ETF, 현물, 선물, 은광 주식

 

※ 금이 전통적인 안전자산이라면, 은은 산업적 수요와 귀금속 투자 성격을 동시에 지닌 자산이다.


2. 은 투자 방법과 전략

은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1) 실물 은 투자 (현물)

투자 방식: 실버 바(Silver Bar), 은 주화, 은 메달 등의 실물 은을 직접 구매하여 보관하는 방법이다.

장점

  •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할 수 있어 안전자산 역할 수행
  • 은 가격 상승 시 실물 그대로 가치 증가

단점

  • 보관 및 관리 비용 발생
  • 매도 시 유동성 문제 발생 가능

추천 대상: 장기 보유 목적의 투자자


2) 은 ETF 투자

투자 방식: 은 가격을 추종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은 가격 변동에 투자할 수 있다.

장점

  • 실물 은 보유 없이 쉽게 매매 가능
  • 거래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

단점

  • 장기 보유 시 운용 수수료 발생
  • 직접 은을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실물 은의 안전성은 제공되지 않음

추천 ETF 종목

  • iShares Silver Trust (SLV): 세계에서 가장 큰 은 ETF로, 은 가격을 직접 추종
  • Aberdeen Standard Physical Silver Shares ETF (SIVR): 실물 은을 보유하며 운용 수수료가 SLV보다 낮음
  • TIGER KRX 은현물 ETF: 국내 상장된 은 ETF로 KRX 은 가격을 추종

3) 은 선물(Futures) 투자

투자 방식: CME(시카고상품거래소) 등에서 은 선물 계약을 매매하는 방식이다.

장점

  •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적은 자본으로 큰 투자 가능
  • 단기 투자로 높은 수익 가능

단점

  •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손실 위험 증가
  • 추가 증거금 요구 가능

추천 대상: 전문 트레이더, 고위험·고수익을 원하는 투자자


4) 은 관련 주식(은광 기업) 투자

투자 방식: 은을 채굴하거나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이다.

장점

  • 은 가격 상승 시 채굴 기업의 주가도 동반 상승 가능
  • 배당 지급 기업에 투자할 경우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 가능

단점

  • 은 가격 변동과 함께 기업 리스크(경영, 비용 증가 등) 고려해야 함

추천 은광 관련 주식

  • First Majestic Silver Corp (AG): 세계적인 은 생산 기업으로, 멕시코에서 주요 은광을 운영
  • Pan American Silver (PAAS): 다각화된 은광 운영과 안정적인 생산량을 보유한 기업
  • Wheaton Precious Metals (WPM): 금과 은을 함께 채굴하는 기업으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보유

3. 은 투자 전략

1) 금/은 비율 활용 전략

**금/은 비율(Gold/Silver Ratio)**은 금 가격을 은 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역사적 평균(50~60배)보다 높으면 은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전략 적용법

  • 금/은 비율이 80 이상일 때 은 매수
  • 금/은 비율이 50 이하일 때 일부 매도

현재 금/은 비율이 높다면, 은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일 가능성이 크므로 매수 전략이 유리할 수 있다.


2) 분할 매수 전략 (DCA, Dollar-Cost Averaging)

은은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한 번에 매수하는 것보다 **분할 매수 전략(DCA)**를 활용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전략 적용법

  • 매달 일정 금액(예: 50만 원)을 은 ETF나 은광 기업 주식에 투자
  • 단기 가격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 투자 유지

3) 글로벌 경제 흐름을 고려한 투자

  • 경제 위기 시 안전자산으로서 은 가격 상승 가능
  • 경기 회복기에는 산업 수요 증가로 인해 은 가격 상승 가능

따라서, 경기 침체기에는 현물 은 또는 ETF 비중을 확대하고, 경기 회복기에는 은광 관련 주식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4. 은 투자 시 유의할 점

  • 높은 가격 변동성: 금보다 변동성이 크므로 장기 투자 시 리스크 관리 필요
  • 유동성 문제: 실물 은의 경우 매도 시점에 따라 거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 보관 및 수수료 고려: ETF 및 실물 은 보유 시 장기 투자 비용 고려

5. 결론: 은 투자는 누구에게 적합할까?

산업적 수요 증가와 안전자산 기능을 모두 고려하는 투자자
금 대비 변동성이 높은 귀금속 투자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을 보고 분산 투자하려는 투자자

 

추천 투자 방법

  • 장기 투자자 → 실물 은, 은 ETF 투자
  • 단기 트레이더 → 은 선물, 은광 기업 주식 투자
  • 분산 투자 목적 → 금과 함께 은을 일정 비중으로 보유

은은 산업적 수요와 귀금속 투자 성격을 모두 가진 매력적인 자산이다. 올바른 투자 전략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