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mp says he’s ‘very angry’ and ‘pissed off’ at Putin during an NBC News interview
Trump said that if he believes Russia is at fault for a ceasefire not being reached with Ukraine, he may impose secondary tariffs on Russian oil.
www.cnbc.com
[해외 기사 CNBC 기사 참조(25. 3. 30.)]
최근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 "매우 화가 났고 짜증이 난다(pissed off)"고 발언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푸틴이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의 리더십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과도정부를 제안했기 때문인데요, 이는 젤렌스키를 사실상 퇴출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이와 관련해 러시아와의 협상이 실패하고 그 원인이 러시아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 **러시아산 석유 전체에 대해 25~50%의 2차 보복 관세(Secondary Tariff)**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2차 제재란, 제재 대상국(이 경우 러시아)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에도 제재를 가하는 방식으로, 국제 거래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치입니다.
트럼프는 "러시아산 석유를 사는 국가는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못하게 될 것"이라며 강한 어조로 말했고, 이는 단순한 관세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흐름과 외교 관계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발언입니다.
또한 트럼프는 인터뷰 말미에 이란과의 핵 협상 문제를 언급하며, 이란이 미국과 협상을 하지 않으면 전례 없는 폭격이 있을 것이라며 군사적 대응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이란 대통령 마수드 페제쉬키안은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거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시사하는 점>
1. 정치 리스크의 불확실성 확대
트럼프의 발언은 단순한 외교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가 공약으로 내세웠던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러시아와의 에너지 거래 제재, 이란 핵 대응 등이 모두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입니다.
2. 원자재 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
트럼프의 발언처럼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25~50%의 관세가 현실화된다면, 국제 유가 상승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에서 러시아 원유에 의존하는 국가들의 수입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인플레이션 재확산 우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지정학적 리스크 재점화
이란과의 관계도 불안 요인입니다. 이란은 주요 원유 수출국이며, 중동 정세에 큰 영향을 주는 국가입니다. 트럼프가 언급한 **군사적 대응(bombing)**이 현실화될 경우, 중동 지역 긴장은 물론 글로벌 증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로서 생각해봐야 할 점>
✅ 1. 리스크 분산 전략 필요
트럼프의 대외 정책은 예측 불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정치 리스크에 민감한 자산(예: 원유, 국채, 방위산업 관련 주식)에 대한 비중을 조절하거나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원자재 관련 ETF 및 방어적 자산 고려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금(Gold), 원유(Oil), 국방 ETF 등이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금은 인플레이션과 불확실성에 강한 자산으로, 포트폴리오에 일부 포함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3. 에너지 섹터와 인플레이션 수혜 업종 주목
트럼프의 발언대로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 **에너지 기업(석유·가스 생산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경우, 필수소비재, 공공요금, 리츠(부동산 관련 주식) 등이 상대적으로 선방할 수 있습니다.
✅ 4. 중동·유럽 관련 시장의 변동성 주의
이란, 러시아 관련 정책 변화는 지역 ETF나 해당 국가에 투자한 글로벌 펀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최근 인기 있는 신흥국 투자 트렌드와 맞물려 추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이번 트럼프의 인터뷰는 단순한 정치적 발언이 아니라, 향후 미국이 취할 수 있는 무역 및 외교 정책의 힌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와 이란이라는 국제적 분쟁의 핵심국가에 대한 언급은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도 감정에 휘둘리기보다 구조적인 흐름과 자산 배분 전략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냉정하고 유연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프로의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우 선물 250포인트 하락…트럼프 대통령 ‘관세폭탄’ 앞두고 흔들리는 월가, 무역전쟁의 그림자 속에서 투자자가 고민해야 할 전략은? (4) | 2025.03.31 |
---|---|
[주식투자] 원-달러 환율 1,472.9원…금융위기 이후 최고, 주식 투자자가 해야할 일은? (7) | 2025.03.31 |
[해외뉴스 브리핑 및 투자전략] 월스트리트는 시장의 극단적인 비관론이 정당한 것인지, 아니면 과잉 반응인지 결정을 못 내리고 있다 (4) | 2025.03.30 |
[투자전략] 금 값 또 다시 사상 최고치 경신, 투자자는 어떻게 해야할까? (3) | 2025.03.29 |
[배당주 투자] TLT vs TLTW – 미국 장기채 ETF 완전 분석! 장단점과 금리 연동 관계까지 쉽게 정리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