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프로의 투자전략

[매일 해외뉴스 브리핑 및 투자전략] 무역 긴장·경기 침체 우려에 5주 연속 하락 위기('25. 3. 21.)

by Mr. Kim pro 2025. 3. 22.

 

미국 증시는 금요일 아침(현지 시간)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S&P 500은 0.8%, 나스닥은 0.7% 하락했으며, 다우지수는 412포인트(1%) 급락했는데요,
이는 한 달 넘게 이어진 하락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입니다.(아래 CNBC 기사 참조)

 

 

Dow falls 400 points, S&P 500 heads for fifth-straight losing week: Live updates

The major averages ended Thursday on a sour note as an attempt to extend the Fed-fueled rally fell short.

www.cnbc.com

 

시장 하락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역 정책 불확실성 (트럼프의 4월 2일 관세 기한 임박)
  • 경기 침체(Recession) 우려
  • 대형 기술주(메가캡)의 하락

특히 금요일은 옵션 만기일로 변동성이 큰 하루가 될 것으로 예상됐고,
S&P 500은 이번 주만 해도 0.5% 하락 중으로 5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업 실적도 악재였습니다.

  • **페덱스(FedEx)**는 산업 경기 둔화를 이유로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11% 급락
  • **나이키(Nike)**는 소비심리 위축과 관세 부담으로 실적 부진을 예고하며 8% 하락
    이 여파로 풋락커, 언더아머 등 관련 소매주들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 생각해볼 포인트

1. 무역 긴장 = 수출의존도 높은 한국 시장도 주의

  •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는 한국 기업에게도 부정적입니다.
  • 특히 IT·소비재·운송 관련 수출기업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실적 주의

2. 미국 대형 기술주의 흔들림 = 나스닥 ETF 투자자는 리스크 점검 필요

  • 애플, 엔비디아 같은 메가캡 기술주 하락은 TQQQ, SOXL 등 레버리지 ETF 보유자에게 충격

3. 경기 침체 우려 = 방어형 자산 선호 가능성

  • 현 시점에서는 금, 배당주, 리츠 등 방어적 자산군에 관심을 높이는 것이 전략적
  • 특히 연준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미국 배당주, 리츠, 금 ETF 등 분산 투자 고려해볼 시기

✅ 마무리 견해

지금 미국 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큰 구간에 있습니다.
기술주 위주의 집중 투자가 아닌, 자산군 분산 + 현금 비중 조절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럴 땐 ‘빠른 매수’보다 ‘현명한 관망’이 더 좋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