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세계 경제계에서 충격적인 발언이 등장했습니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자신의 SNS를 통해 "올해 최고의 투자처는 금도, 비트코인도 아닌 '은(Silver)'이다"라고 언급한 것입니다.

https://www.seoul.co.kr/news/economy/2025/06/30/20250630500018?wlog_tag3=naver

 

“지금 사라, 저축은 패배”…‘부자아빠’가 찍은 올해의 투자처

글로벌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또 한 번 파격적인 투자 전망을 내놨다. 이번엔 금도, 비트코인도 아닌 ‘은(Silver)’을 최고의 투자처로 꼽으며 연말까

www.seoul.co.kr

 

그는 심지어 “지금 은을 사지 않으면, 내일은 더 이상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발언은 단순한 투기적 주장이 아닌, 실물 자산의 가치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을 반영한 전략적 제안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정말로 은 투자를 해야 할까요?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요? 한국 투자자라면 어떻게 해야할지 오늘 이 포스팅에서 하나씩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 왜 지금 '은(Silver)'인가?

기요사키는 단순한 경고가 아닌,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현재 약 35달러 수준의 은 가격이 연말까지 100달러, 나아가 1~2년 안에 200달러까지도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감이 아닙니다.
은은 산업 수요 + 자산 방어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는 특이한 원자재입니다.

🔍 은의 주요 수요 구조

  1. 산업적 수요
    • 전기차(EV) 배터리
    • 태양광 패널
    • 5G 통신 모듈
    • 반도체 제조 공정
    • 의료·광학 장비
  2. 자산 수요
    • 안전자산 대체 (금보다 접근성 용이)
    • 인플레이션 방어
    • 실물 자산 보유 용도

2025년 현재, 은 가격은 2012년 고점(약 49달러)보다 아직도 60% 이상 저평가돼 있으며, 금과 비트코인이 모두 고점권에 있는 지금, 가장 상승 여력이 큰 실물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실질적인 은 투자 방법 3가지

1️⃣ 실물 은(주화, 바 등) 직접 매입

  • 장점: 위기 상황에서 실물 보유로 안정감 확보
  • 단점: 보관 장소, 거래 유동성 문제, 프리미엄 가격

✔️ 국내에서는 한국조폐공사 인증 '은화', 민간 실버 바 판매처에서 구입 가능
✔️ 단, 시세보다 프리미엄이 비쌀 수 있어 매매차익 목적보다 자산 분산용으로 적합


2️⃣ 은 ETF 투자 (미국/글로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ETF가 있습니다:

ETF 특징
SLV (iShares Silver Trust) 미국 최대 은 ETF, 실물 은과 연동
SIVR (Aberdeen Standard) SLV보다 낮은 수수료, 실물 은 보유
DBS (Invesco DB Silver Fund) 선물 기반, 변동성 큼
 

✔️ 미국 주식 계좌가 있다면 SLV는 은 투자 입문용으로 매우 간편
✔️ 하지만 **환율 리스크와 세금(양도소득세 과세)**에 유의 필요


3️⃣ 은 관련 국내 주식 투자: 고려아연

실물 은을 직접 살 수 없다면, 은 생산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대안입니다.
한국 주식 중 은/아연/납/금속 정제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고려아연(010130)**입니다.


🏭 고려아연, 은 가격 상승의 최대 수혜주?

고려아연은 세계 2위 아연·납 제련업체이며,
은, 금, 백금, 팔라듐 등 귀금속 회수 사업도 함께 영위하고 있는 귀금속 정제 강자입니다.

하지만 최근 경영권 분쟁 등 시끄러운 얘기들이 있기에 고려아연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투자하셔야 하기에 아래 블로그 포스팅을 가져왔습니다.

https://blog.naver.com/kmism/223917096421

 

고려아연 주가 및 전망 전격 분석(feat. 경영권 분쟁)

✅ 1. 고려아연 주가 급락 배경: 경영권 분쟁 🔹 분쟁 구조 조정호 고려아연 회장과 장남 조현준(효성 회...

blog.naver.com

 

✅ 주요 투자 포인트

항목 내용
은 생산량 연간 약 1,100톤 수준. 전체 수익 중 귀금속 비중 20~25%
사업 구조 아연, 납, 은, 금 → 시황이 좋을 때 수익 급등
2024 실적 매출 9.8조 원, 영업이익 1.2조 원, ROE 11~13% 유지
주가 PER 약 9~11배 수준으로 안정적 밸류에이션
 

고려아연은 최근 LG에너지솔루션과 니켈/전구체 합작사 설립, 2차전지 리사이클링 진출
향후 에너지·자원 순환 산업에서도 주목할 만한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안정적 배당(배당수익률 약 2.5~3%)**도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 투자 전략 요약

전략 추천 방법
단기 트레이딩 SLV, SIVR 등 미국 은 ETF 매수 + 기술적 지표 확인
중장기 분산 투자 은 20% 이하, 금·현금 포함한 실물 자산 포트 구성
국내 주식 중심 고려아연 중심으로 원자재 수혜 + 2차전지 확장 기대
 

✍️ 마무리: "저축은 패배다"라는 말, 어떻게 받아들일까?

기요사키는 다소 도발적으로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가 진짜 말하고 싶은 것은 ‘화폐 가치가 떨어지는 시대에 현금만 붙잡고 있지 말라’는 경고이지 않을까요?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은 높고, 금리는 정체되고, 자산 가격은 불안한 상황에서는
실물 자산, 특히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은(Silver)**은 충분히 검토해볼 만한 투자처라고 생각됩니다.

 

한국 투자자라면, 실물 은도 좋지만 보다 실용적으로는 고려아연 같은 국내 상장기업을 통한 접근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은’을 더해볼 시간입니다.
“오늘은 누구나 은을 살 수 있지만, 내일은 아닐 수도 있다” – 로버트 기요사키

반응형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