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관련 자산 비중 조절
영향:
-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 시,
중국 기술주, 소비재 기업, 수출 기업에 악영향
대응:
- 중국 ETF (예: FXI, KWEB, CQQQ) 비중 축소 고려
- 중국 ADR 종목 (BABA, JD, NIO, XPEV) 단기 변동성 주의
- 환율 리스크 확대 → 위안화 약세 가능성
대안:
- 미국 내 대체 소비재, 클라우드, 내수 성장주로 분산
2. 미국 제조업/내수 중심 종목 주목
수혜 가능성 있는 업종:
- 철강, 기계, 건설장비, 인프라 관련
- 미국 생산 기반 자동차/부품 업체
- 국내 소비재 및 유통 기업
관련 ETF 및 종목:
- XLI: 미국 산업재 ETF
- VCR: 미국 소비재 ETF
- DE(디어), CAT(캐터필러), F(포드), GM(제너럴모터스)
3. 리쇼어링(Reshoring) 수혜주 대응
“생산기지를 다시 미국으로”라는 움직임이 가속화될 경우
관련 산업:
- 반도체 제조 장비
- 자동화·로봇 기업
- 물류 인프라
관심 종목/ETF:
- SMH: 반도체 ETF
- BOTZ: 로봇/AI ETF
- AMAT, LRCX, INTC, TXN
4. 디펜시브한 자산군 일부 확대
관세 정책은 무역갈등 → 소비자 물가 상승 → 경기 불확실성으로 연결될 수 있어
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응 전략:
- **고배당 ETF (JEPI, SCHD)**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
- 채권 ETF (BND, TLT) 일부 편입해 포트폴리오 방어
- **골드 ETF (GLD)**로 안전자산 역할 고려
5. 환율과 수입물가 대비 전략
관세 인상 → 물가 상승 → 소비 위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수 소비보다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섹터가 방어적 성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추천 ETF:
- XLP: 미국 필수소비재 ETF
- XLV: 헬스케어 ETF
🔍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 (보수적 대응형)
자산군 | 비중 | 관련 종목 |
미국 산업재/제조업 | 30% | XLI, CAT, DE, F |
고배당/커버드콜 | 20% | SCHD, JEPI |
헬스케어/필수소비재 | 20% | XLV, XLP |
반도체 리쇼어링 | 15% | SMH, AMAT, LRCX |
안전자산 (채권/금) | 15% | BND, TLT, GLD |
✅ 한 줄 정리
- 리스크 자산(중국·글로벌 수출주) 비중은 줄이고
- 내수·제조업·리쇼어링 수혜주 중심으로 옮겨가기
- **수비적인 ETF(고배당, 헬스케어, 필수소비재)**로 방어력 확보
언제나 위기는 옵니다. 그 위기에서 적절한 용기, 적절한 자금, 적절한 분배가 그 위기를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위기에서도 꼭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김프로의 투자전략 > 주식 투자전략(배당주, ETF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전략] 투자 멘탈 관리법, 하락장에서 흔들리지 않는 법 (0) | 2025.04.03 |
---|---|
[투자전략] 4. 2. 트럼프 관세정책의 경제적 영향 및 시장반응, 그리고 전망 (3) | 2025.04.03 |
[투자전략] ㅡ투자 잘하는 사람들의 포트폴리오 루틴, 따라만 해도 수익률이 달라진다 (2) | 2025.04.03 |
[투자전략] 워런 버핏이 말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투자 행동’ 3가지 (0) | 2025.04.03 |
[주식투자] 요즘 핫한 테마 ETF, 진짜 투자할 만할까?(추천 종목 포함) (7)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