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토류 관련주, 왜 또 뜨거울까?(트럼프 관련주 분석, 관련주 有)

by Mr. Kim pro 2025. 10. 13.

 

안녕하세요 김프로입니다! 

트럼프의 말 한마디로 주가가 요동을 치는 요즘입니다. 트럼프의 희토류 관심을 어떻게 바라 봐야 하는지 주식 투자자 관점에서 정리하고 분석해보겠으니 투자자 여러분들의 관심 부탁드려요~ 투자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차·풍력·반도체가 키운 “자석 금속”의 힘

희토류는 이름만 “희(稀)”일 뿐, 실제로는 캐내고(채굴)–골라내고(분리·정련)–가공(금속·자석) 하는 과정이 어렵고 비쌉니다. 그중에서도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은 전기차 모터와 풍력발전의 **영구자석(NdFeB)**에 꼭 들어갑니다.

  • 수요 쪽: EV 보급, 풍력 증설이 늘수록 자석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
  • 공급 쪽: 분리·정련 역량이 특정 국가에 몰려 있어 공급망 리스크가 큼.
    결론은 간단해요. “성장은 장기적으로 이어지고, 단기 가격·주가는 뉴스와 정책에 크게 흔들린다.”

오늘의 변수: 미국–아르헨티나 밀착, “전략 광물” 선점전

사용자님이 전해준 기사 핵심만 쉽게 풀어볼게요.

  • 무슨 일이야?
    미국(트럼프 행정부)이 통화스와프 등으로 아르헨티나를 전폭 지원하는 대신, 미국 민간기업이 아르헨티나에서 우라늄·희토류·리튬 같은 전략광물 개발에 우선권을 갖도록 하려는 **거래(딜)**를 생각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 왜 아르헨티나?
    남미는 리튬·우라늄 등 자원 보고이고, 최근 25년간 커진 중국의 영향력미국이 되찾으려는 지정학적 목적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 어떤 조건?
    전략광물 채권은 아르헨티나 연방정부가 아니라 주(州)정부 권한인 경우가 많아, 중간선거 이후 거버넌스 유지주정부 협조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 왜 투자자에 중요한가?
    한 마디로 “비(非)중국 공급망 다변화 + 자원 내재화(Reshoring) 가속” 시그널이에요. 미국 기업이 남미–북미 축에서 희토류·리튬·우라늄 개발권을 확보하면, 가격 스파이크 때 대안 공급이 늘고, 비중국 체인 기업의 **가치(밸류에이션)**가 재평가될 수 있습니다.

정리: 정책·지정학 뉴스 → 공급망 변화 기대 → 관련주 변동성 확대 → 선별적 기회
단, 정치·협상·현지 규제·환경 인허가 같은 불확실성도 큽니다. “시간차”를 꼭 기억하세요.


희토류 밸류체인, 어디가 돈이 되나?

① 광산(원광·농축) → ② 분리·정련(산화물) → ③ 금속·합금 → ④ 자석(NdFeB) → ⑤ 최종제품(EV·풍력)

  • **Upstream(채굴)**만 하면 가격 변동에 매우 민감.
  • 분리·정련은 병목이라 전략적 가치가 큽니다.
  • 금속/자석까지 내재화할수록 부가가치·마진이 올라갑니다.

초보자 체크포인트 3가지

  1. 이 회사가 어디까지(어느 단계) 내재화했나?
  2. 비(非)중국에서 분리·정련이 가능한가?
  3. **프로젝트 자금조달·오프테이크(장기공급계약)**가 있나?

대표 플레이어 한눈에 보기(요약 설명)

  • MP Materials(미국): 미국 내 채굴→분리→금속→자석 복원 프로젝트의 핵심. 2025년 NdPr 금속 상업생산 진입, 자석 시험생산 진행. 미국 내재화 사슬을 연결 중.
  • Lynas(호주): 중국 외 최대 분리사. 말레이시아(분리) + 호주 칼굴리(크래킹·리칭)에서 안정 공급을 확대.
  • Iluka(호주): 이니아바 정련소(경·중희토 분리)로 서방권 분리 허브 도전.
  • Arafura(호주): Nolans(NdPr) 대형 프로젝트. 파이낸싱 진척 중이나 건설·가동 리스크는 상존.

※ 위 회사들은 “희토류 순수 노출”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정책 뉴스에 더 민감합니다.


투자자는 어떻게 접근할까? (너무 쉽게)

1) 분산의 뼈대: “코어 + 위성”

  • 코어(장기 추세): 전기차/풍력·배당성장·지수형(시장 상단 추종력을 보존)
  • 위성(테마·전략): 희토류(광산·분리·자석), 리튬·우라늄, 인컴형(커버드콜/하이일드)
    뉴스 급등·급락을 감당하려면, 코어를 반드시 함께 가져가세요.

2) 가격 흔들릴 때: “DCA(분할매수)”

  • 한 번에 몰입X → 3회 분할(오늘 40% → -5% 30% → -10% 30%)
  • 또는 6~8주 정액 매수(자동이체 느낌)
    → “바닥에서 다 사겠다”는 욕심보다 평균단가 안정을 노리는 전략이 실제로 오래 갑니다.

3) 뉴스 해석법(실전)

  • 정책·협정 뉴스: 공급망 다변화 기대(호재) vs 실행 지연(변수).
  • 가격 데이터(Nd/NdPr): 급등→리스크, 급락→기회가 아니라 추세의 바뀜을 먼저 보세요.
  • 실적/가동률: 분리·정련·자석 단계로 갈수록 마진·안정성이 달라집니다.

“미–아르헨티나 전략”이 의미하는 것 3가지

  1. 비(非)중국 공급선 확대: 남미(리튬·우라늄·희토류)–북미(분리·자석)의 양방향 파이프라인 기대.
  2. 정치 리스크 동행: 선거·주정부 권한, 인허가 변수로 일정 지연 가능. 장기전 마인드 필요.
  3. 관련 테마 확장: 희토류뿐 아니라 리튬(배터리), **우라늄(소형모듈원전·SMR 기대)**로 전략광물 바스켓이 넓어짐.

예시 포트폴리오(교육용·쉽게 따라하기 버전)

총 100을 기준으로, 변동성·소식에 민감한 비중을 제한하고, 코어+인컴을 함께 둡니다.

① 기초 체력형(장기 추세 + 변동성 방어)

  • 코어 지수/배당 성장 60
    • S&P500·배당성장(미국)·글로벌 대형… 등
  • 인컴(커버드콜·하이일드) 20
    • 월분배로 현금흐름 확보 → 조정장 심리 방어
  • 전략 광물 위성(희토류·리튬·우라늄) 20
    • MP/Lynas/Iluka/Arafura 혹은 관련 ETF 일부
      → 장점: 급락 시에도 버틸 힘이 있고, 반등도 놓치지 않음.

② 전략 민감형(뉴스 탄력 수용, 단 비중 제한)

  • 코어 50 / 인컴 20 / 전략 광물 30
    정책·협정 모멘텀을 더 빨리 실어나르지만, 폭이 크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공통: 분기 1회 리밸런싱, 목표비중 ±5%p 이탈 시 원위치.
분배금 50% 재투자 + 50% 현금 버퍼추가매수 탄약을 유지하세요.

 


자주 받는 질문 Q&A

Q1. 희토류 가격이 또 출렁이면 어떡하죠?
A. 당연히 흔들릴 수 있어요. 그래서 분할매수코어 동행을 강조합니다.


Q2. 중국 이슈가 진정되면 테마가 꺼지나요?
A. 단기 모멘텀은 꺼질 수 있지만, 자석 수요(전기화·풍력)는 장기 추세예요. 비(非)중국 내재화는 시간이 오래 걸리니, 장기 구조를 보세요.


Q3. 개별주 vs ETF?
A. 초보자라면 ETF로 시작하고, 공부가 쌓이면 분리·자석 단계로 내재화된 개별주를 소액부터.


Q4. 남미(아르헨티나) 프로젝트는요?
A. 정치·주정부 권한·환경 인허가가 얽혀 있어 속도가 변수입니다. “헤드라인→즉시 생산”이 아닙니다. 로드맵·재무(파이낸싱)·오프테이크를 체크하세요.


리스크 경고(꼭 읽기)

  • 정책·정치: 선거·수출 규제·관세·인허가 이슈는 주가를 크게 흔듭니다.
  • 가격·재고 사이클: Nd·NdPr은 재고 축적/축소에 따라 가격이 크게 요동.
  • 프로젝트 리스크: 예산 초과·지연·기술적 문제(정련·자석) 등.
  • 환율: 달러 강세/약세에 따라 원화 수익률 체감이 달라집니다.

결론: “테마는 길고, 뉴스는 빠르다.”

희토류 관련주전기차·풍력이라는 장기 물결을 타지만, 정책·지정학 뉴스단기 파도가 큽니다.
미–아르헨티나 협력 이슈는 비(非)중국 공급망 강화라는 큰 그림의 일부예요.

  • **코어(지수·배당성장)**로 중심을 잡고,
  • **인컴(월분배·하이일드)**로 현금흐름 안전벨트를 매고,
  • **전략 광물(희토류·리튬·우라늄)**은 위성 비중으로 분할매수 + 리밸런싱을 하세요.

이렇게 하면 변동성에 휩쓸리지 않고 장기 테마의 열매를 더 안정적으로 노릴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본인의 책임이지만 정보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성투 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하겠습니다!

 

"1억굴리기" 어떻게 하면 1억으로 빛나는 인생을 만들 수 있을까?

1억굴리기 2025 완전 가이드 — 금리·세금·보장 한도까지 반영한, 초보 친화형 자산배분 로드맵 안녕하세요...

blog.naver.com

 

현금자산 3,000만 원, ISA계좌에 어떻게 투자할까?(와이프에게 보내준 투자종목 포트폴리오 有)

안녕하세요 김프로입니다. 이번에 투자금액이 조금 생겨서 와이프가 투자할 종목 소개해 달라고 해서 우선 ISA계좌를 만들어서 2000만원씩 매년 투자를 하라고 했는데요. 이제 2년차라 4000만원까

dreamct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