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FIRE 배당생활, 개념부터 정리하기

먼저 용어부터 정리해볼게요.
- FIRE(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 “일 안 해도 자산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으로 먹고사는 상태” - 배당생활
→ 월급 대신 배당금·이자·분배금을 월급처럼 받아서 생활하는 것
이번 글의 핵심 키워드인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은
결국 이렇게 바꿀 수 있습니다.
“나는 매달 얼마가 필요하고, 그 돈을 주식 배당금으로만 받으려면
도대체 얼마를 모아야 하는가?”
이걸 아주 구체적으로, 숫자로, 표까지 만들어서 보여드릴게요.
2. 월 얼마면 FIRE 배당생활이 가능할까?

2-1. 한국에서 현실적인 생활비 수준
해외·국내 여러 통계를 보면
**한국 1인 기준 생활비(월)**는 대략 이 정도입니다.
- 1인 기준 평균 생활비(식비·교통·통신 등, 집세 제외)
→ 약 148만 원 수준 - 외국 자료에서 한국 1인 평균 생활비는 **약 1,200~2,500달러(대략 160만~340만 원)**로 잡기도 해요.
여기에 월세나 대출 이자까지 더하면
서울 기준으로는 1인 200만~250만 원,
3인 가족은 300만~400만 원 이상이 현실적인 구간입니다.
그래서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목표 월생활비를 이렇게 가정해볼게요.
- 케이스 A: 최소 간소 FIRE → 월 200만 원
- 케이스 B: 적당히 여유 있는 FIRE → 월 300만 원
- 케이스 C: 가족 기준 여유형 FIRE → 월 400만 원
이제 이 숫자를 가지고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을 해봅니다.
3. 4% 룰, 그리고 요즘은 3~3.5%가 더 현실적이다
FIRE 얘기할 때 제일 유명한 게 4% 룰(Trinity Study) 입니다.
핵심은 단순해요.
은퇴 첫 해에 자산의 4%를 쓰고,
다음 해부터는 물가만큼 인상해서 꺼내 쓰면
30년 정도는 자산이 안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하지만 이 4% 룰은
- 은퇴기간 30년 (보통 60~90세)
- 미국 시장 중심
으로 만들어졌고,
FIRE처럼 40년, 50년 써야 하는 조기은퇴에는 조금 보수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최근 분석들이 많아요.
그래서 2025년 기준으로는:
- 안전 인출률 보수적 기준: 3.0~3.5%
- 공격적으로 잡을 때: 4% 근처
라고 보는 연구·칼럼들이 많습니다.
👉 이 글에서는 안전하게 보려고
3% / 3.5% / 4% 3단계로 나눠서 계산해볼게요.
4.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 – “필요 자산 얼마인가?”

4-1. 공식은 딱 하나입니다
연간 필요 생활비 ÷ 안전 인출률 = 필요한 자산
예시)
연 3,600만 원이 필요하고(=월 300만 원)
안전 인출률을 3.5%로 잡으면,
3,600만 원 ÷ 0.035 ≈ 10억 2,800만 원
이게 바로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의 기본입니다.
4-2. 월 200 / 300 / 400만 원 기준 필요 자산표
✅ ① 인출률 3% 기준 (아주 보수적인 FIRE)
| 목표 월생활비 | 연간 필요 생활비필요 | 자산(3%) |
| 200만 원 | 2,400만 원 | 약 8억 원 |
| 300만 원 | 3,600만 원 | 약 12억 원 |
| 400만 원 | 4,800만 원 | 약 16억 원 |
✅ ② 인출률 3.5% 기준 (적당히 보수적인 FIRE)
| 목표 월생활비 | 연간 필요 생활비필요 | 자산(3.5%) |
| 200만 원 | 2,400만 원 | 약 6억 8,500만 원 |
| 300만 원 | 3,600만 원 | 약 10억 2,800만 원 |
| 400만 원 | 4,800만 원 | 약 13억 7,100만 원 |
✅ ③ 인출률 4% 기준 (고전적인 4% 룰, 다소 공격적)
| 목표 월생활비 | 연간 필요 생활비 | 필요 자산(4%) |
| 200만 원 | 2,400만 원 | 약 6억 원 |
| 300만 원 | 3,600만 원 | 약 9억 원 |
| 400만 원 | 4,800만 원 | 약 12억 원 |
딱 감이 오시죠?
“월 300만 원 FIRE 배당생활”을
비교적 안전하게 하려면
대략 9억~10억 원 사이는 필요하다.
이게 바로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의 첫 번째 결론입니다.
5. “배당금만으로” 생활한다면, 얼마가 필요할까?

지금까지는 **“배당 + 자본 차익 + 일부 원금 인출”**까지 포함한 일반적인 3~4% 인출 전략이었어요.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원금은 건드리고 싶지 않고,
배당금만 받아서 살고 싶다!”
그럼 공식은 이렇게 바뀝니다.
연간 필요 생활비 ÷ 포트폴리오 배당수익률 = 필요 자산
여기서 중요한 현실이 하나 있어요.
- S&P500 전체 배당수익률(2025년): 약 1.1~1.3% 수준입니다
즉, 지수 ETF만 들고는 배당만으로 살기 거의 불가능해요.
그래서 보통 고배당 ETF·커버드콜 ETF·리츠·채권 등을 섞어서
포트폴리오 배당률을 4~6% 정도로 만드는 전략을 씁니다.
실제 해외 칼럼에서도 “월 1,000달러 배당을 받으려면 4% 수익률일 때 30만 달러, 6% 수익률이면 20만 달러가 필요하다”는 예시를 듭니다
이를 우리에게 맞게 바꿔보면:
5-1. 포트폴리오 배당률 4%일 때
| 목표 월생활비 | 연간 필요 생활비필요 | 자산(배당률 4%) |
| 200만 원 | 2,400만 원 | 6억 원 |
| 300만 원 | 3,600만 원 | 9억 원 |
| 400만 원 | 4,800만 원 | 12억 원 |
5-2. 포트폴리오 배당률 6%일 때
| 목표 월생활비 | 연간 필요 생활비필요 | 자산(배당률 6%) |
| 200만 원 | 2,400만 원 | 4억 원 |
| 300만 원 | 3,600만 원 | 6억 원 |
| 400만 원 | 4,800만 원 | 8억 원 |
표만 보면 “배당률 6%면 훨씬 쉽네?” 라고 느껴지지만,
여기엔 중요한 함정이 있습니다.
- 배당률이 너무 높은 자산은 그만큼
- 주가 하락 위험
- 배당 컷 위험
- 구조적으로 하이리스크
인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현실적으로는,
배당률 4~5% 정도의
우량 배당주 + 배당 ETF + 일부 커버드콜·리츠
섞은 포트폴리오가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입니다.
6. 그럼 실제로 어느 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까?

자산운용사·연기금의 장기 기대수익률 리포트를 보면,
글로벌 주식의 실질(물가 제외) 수익률은 연 3.5~4% 수준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요.
여기에 배당 재투자 + 일정 부분 채권·리츠·대체자산 분산을 고려하면
장기 명목 수익률은 대략 연 6~7% 전후를 기대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그중에서 배당으로 받는 부분이 3~5%
- 나머지는 주가상승(자본이득) 으로 발생
👉 그래서 “배당금만으로 살겠다”라고 하면
상당히 큰 자산 규모가 필요해지는 것이고,
👉 “배당 + 일부 자본인출(3~3.5% 수준)”을 허용하면
조기은퇴(FIRE) 진입 장벽이 조금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7. 나에게 필요한 FIRE 숫자, 직접 계산해보기

이제 여기까지 온 김에,
당신 상황에 대입해서 한 번 계산해볼게요.
7-1. 3단계로 생각하면 됩니다
- 월 얼마로 살고 싶은지 결정
- 최소 생존비가 아니라,
“스트레스 안 받는 수준”의 금액
- 최소 생존비가 아니라,
- 그 금액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
- 예: 월 250만 원 → 연 3,000만 원
- 전략에 따라 필요 자산 계산
- 보수적 3% 인출: 연 3,000만 원 ÷ 0.03 = 10억
- 배당률 4.5% 포트: 3,000만 원 ÷ 0.045 ≈ 6억 7천만 원
7-2. 예시 – 월 250만 원 FIRE 배당생활
- 목표: 월 250만 원 (혼자 + 약간 여유)
- 연간: 3,000만 원
- 인출률 3.5% 전략
→ 3,000만 ÷ 0.035 ≈ 8억 5천만 원 - 배당률 4.5% 포트 전략
→ 3,000만 ÷ 0.045 ≈ 6억 7천만 원
현실적으로는
“6~9억 사이 어딘가가 나의 FIRE 배당생활 최소 숫자다.”
라는 감이 잡히죠.
8. 그럼 이 돈을 언제까지 어떻게 모을 수 있을까?
여기서부터는 “계산”이 아니라 “계획”의 영역입니다.
아주 단순하게만 보면:
- 연평균 수익률 6%
- 매년 1,200만 원(월 100만 원) 저축
- 20년 동안 투자하면?
복리 계산을 해보면
대략 4~5억 원대 자산이 만들어집니다.
여기에
- 소득 증가분 저축
- 퇴직금
- 연금(국민연금, 퇴직연금, IRP, 연금저축)
까지 더하면
FIRE 숫자에 조금씩 가까워질 수 있어요.
포인트는 이거 하나입니다.
“FIRE 배당생활 현실 계산”을 해봤더니
당장 불가능한 꿈이 아니라,
설계와 시간, 꾸준한 투자로 서서히 접근할 수 있는 목표라는 것.
9. 현실적인 결론 정리
- 월 300만 원 FIRE 배당생활을 하려면
→ 보수적인 기준 9~10억 원 정도가 필요하다. - 배당금만 100%로 살겠다면
→ 포트폴리오 배당률 4~5% 기준 7~9억 원 수준이 필요하다. - 지수 ETF만으로는 배당률이 너무 낮다
→ 고배당 ETF, 배당 성장주, 리츠, 일부 커버드콜 등을 섞는
인컴 포트폴리오 설계가 필수다. - 4% 룰은 조기은퇴에는 약간 공격적
→ 3~3.5% 정도를 기준으로 계획하는 게 2025년 기준 더 현실적이다. - 가장 중요한 건
→ “내가 원하는 월생활비가 얼마인지, 숫자로 정의하는 것”
→ 그다음은 저축률·투자수익률·기간 3가지를 가지고
“내 숫자에 다가가는 설계”를 만드는 일입니다.
10. 초등학생 버전으로 한 줄 요약
- 내가 매달 쓰고 싶은 돈을 먼저 정하고,
- 그 돈을 1년치로 계산한 뒤,
- “이 돈이 내 돈의 몇 %인지(3%~4%)”를 계산하면
**“나에게 필요한 FIRE 자산”**이 나옵니다.
그 숫자를 보고
“와… 너무 크다…” 하고 좌절하는 게 아니라,
**“그럼 매달 얼마씩, 몇 년을 모으면 거기에 도달하지?”**를
거꾸로 계산해보는 게 진짜 현실적인 FIRE의 시작이에요.
ETF 투자로 매달 수익 만들기: 따라하기 쉬운 투자 전략 (2025년 최신 정보)
안녕하세요 김프로입니다! 요즘 계속해서 돈이 늘어나게 하려는 생각만 하다보니 주식 관련 종목 분석 및 투자전략에 대해서 매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은행에 돈을 넣어두는 것보다, 똑
dreamct100.com
💼 2025년 ETF·주식 포트폴리오 추천: AI·고배당·인프라로 완성하는 GPT가 인정한 100점 전략
안녕하세요 다모장입니다! GPT, 코파일럿, 재미나이 요즘 ai로 떠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죠? 그래...
blog.naver.com
'김프로의 투자전략 > 주식 투자전략(배당주, ETF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ODEX 미국 휴머노이드로봇 ETF를 포함한 FIRE 포트폴리오 추천(제 포트폴리오와 비슷하니 참고하세요!) (0) | 2025.11.16 |
|---|---|
|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투자 어떻게 볼까? (0) | 2025.11.16 |
| 2025년, KOSPI 6000 시대를 대비한 맞춤 포트폴리오 전략 (0) | 2025.11.12 |
| 섹터별 배당주 투자전략 (2025 에디션, 배당주 추천종목 有) (0) | 2025.11.11 |
| 지금 금리 하락은 언젠가는 멈춘다! 금리사이클과 금융주 투자 전략 (1) | 20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