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직금이자계산기로 ‘지연이자’부터 순수령액까지 완벽 정리(2025년 가이드)

by Mr. Kim pro 2025. 8. 26.

안녕하세요! 😊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퇴직금이자계산기 사용법과 함께,
2025년 기준으로 바뀐 퇴직금 계산법·법정 지급기한·지연이자 산정 방식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퇴직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회사가 늦게 줄 때 이자는 얼마나 붙을까요?”
“가장 쉽게 계산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오늘 포스팅만 보시면 3분 안에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


1. 퇴직금 계산, 어렵지 않아요!

퇴직금 계산은 딱 이 공식 하나만 기억하면 돼요.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

여기서 1일 평균임금은 간단해요.
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이에요.
월급, 상여금, 연차수당 등 법에서 정한 항목을 모두 포함해 계산해야 해요.

TIP:

  • 만약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낮다면, 통상임금으로 자동 대체됩니다.
  • 실제 금액을 빠르게 보고 싶다면 고용노동부 온라인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세요.

2. ‘퇴직금이자계산기’가 필요한 순간

퇴직금을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으면,
**지연이자(법정이자)**가 붙습니다. 이게 바로 퇴직금이자계산기를 써야 하는 이유예요.

  • 법정 지급기한: 퇴직일 + 14일 이내
  • 연 이자율: 20%
  • 지연 계산 시작일: 퇴직일 + 14일의 다음 날
  • 계산식:
  •  
    지연이자 = 미지급 퇴직금 × 20% × (지연일수 ÷ 365)
  •  

중요 포인트

  • 회사와 합의해서 지급기한을 연장해도 지연이자는 별도로 발생해요.
  • 퇴직금 체불 시 분쟁이 생기면 지연이자도 민사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월급 지연과 달리, 퇴직금은 근로기준법상 연 20% 고정 이율이 적용됩니다.

3. 퇴직금이자계산기 3단계 활용법

퇴직금 본액과 지연이자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3가지예요.

①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 평균임금과 재직일수를 입력하면 퇴직금 본액을 바로 알 수 있어요.
  • 이 금액이 지연이자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② 온라인 지연이자 자동 계산기

  • 퇴직일, 실제 지급일, 금액만 넣으면
    자동으로 지연일수와 이자액을 계산해줘요.
  • 노무사, 실무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이에요.

③ 엑셀로 직접 계산하기

엑셀에서 직접 수식 입력도 가능해요.

 
= 미지급금액 * 20% * (지연일수 / 365)

부분 지급이 있었을 때 예시

  • 퇴직금 1,000만 원, 20일 뒤 400만 원 지급, 이후 10일 뒤 전액 지급
    • 1단계: 1,000만 × 20% × (20/365)
    • 2단계: 잔액 600만 × 20% × (10/365)
    • 총 이자 = 단계1 + 단계2

4. 예시로 이해하는 지연이자 계산

조건

  • 퇴직금: 10,000,000원
  • 퇴직일: 1월 1일
  • 법정 지급기한: 1월 15일
  • 실제 지급일: 2월 14일 → 30일 지연

계산

  • 지연일수: 1월 16일 ~ 2월 14일 = 30일
  • 지연이자 = 10,000,000 × 20% × (30/365)
  • 결과164,384원

따라서 총 수령액 = 10,164,384원(세전)


5. 꼭 알아둬야 할 실무 팁 6가지

  1. 14일 규정은 원칙, 합의로 지급일을 늦출 수 있어도 지연이자는 발생.
  2. 지연이자는 근로기준법상 금품이 아니라서 민사 청구로 진행.
  3. 퇴직금 본액 산정 시,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낮으면 통상임금으로 보정.
  4. 고용노동부 계산기지연이자계산기 순으로 계산하면 가장 정확.
  5. 지연이자는 원칙적으로 퇴직소득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 다만 케이스별 세무 확인 필요.
  6. 분쟁 대비를 위해 합의서·지급내역·증빙자료를 반드시 보관하세요.

6. ‘퇴직금이자계산기’와 헷갈리기 쉬운 개념

  • 퇴직연금(IRP, DC형) 이자
    → 투자 상품 수익률이므로 오늘 다루는 ‘법정 지연이자’와 완전히 다른 개념.
  • 월급 체불 지연이자
    → 이율 구조는 같지만, 월급 지연과 퇴직금 지연은 법 적용 조항이 다릅니다.

7. 실전 체크리스트

  • 퇴직금 본액 → 고용노동부 계산기로 먼저 확인
  • 지급기한 → 퇴직일 + 14일
  • 실제 지급일 기준 지연일수 계산
  • 지연이자 산출: 미지급 퇴직금 × 20% × (지연일수 / 365)
  • 부분 지급 시 기간 나눠 계산
  • 분쟁 대비 서류 보관 및 필요 시 노무 상담

8. 자주 묻는 질문 Q&A

Q1. 합의로 지급일을 미뤘어요. 지연이자도 나오나요?
→ 네, 합의 여부와 관계없이 법정 지연이자는 그대로 발생해요.

 

Q2. 지연이자는 언제부터 계산하나요?
→ 퇴직일 + 14일의 다음 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예요.

 

Q3. 가장 쉽게 계산하는 방법은 뭔가요?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본액)지연이자계산기(이자) 순서가 가장 간편해요.


9. 마무리

  • 퇴직금은 퇴직일 +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
  • 기한을 넘기면 연 20% 지연이자 발생
  • 퇴직금이자계산기를 활용하면 단 3분 만에 정확한 금액을 확인 가능

Tip:
퇴직을 앞두셨다면 퇴직금 본액지연이자 발생 가능성을 미리 계산해 보세요.

 

연말정산 최대 105만 원 돌려받는 꿀팁! 연금저축펀드 vs IRP, 무엇부터 채워야 할까?

요즘 절세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바로 연금저축펀드와 **IRP(개인형 퇴직...

blog.naver.com

 

 

배당금 높은 국내주식 완벽 분석(2025년 최신 가이드) 놓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김프로입니다! 오늘은 많은 투자자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배당금높은국내주식”**을 주제로 깊이 있게 알아보려고 해요.특히 2025년은 세금 제도 변화, 기업들의 주주환원 강화, 분

dreamct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