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최신판|퇴직금세금계산기 완벽 가이드

by Mr. Kim pro 2025. 8. 25.

안녕하세요 김프로입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바뀐 퇴직금 세금 계산 방법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퇴직금세금계산기 활용법을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리려고 해요.

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이 얼마나 빠져나갈까?” 가장 궁금하시죠?
하지만 실제로 계산해보면 공식도 복잡하고, 근속연수 공제니 환산급여 공제니…
머리가 아파지는 용어들이 많아요. 😅

 

그래서 오늘은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퇴직금세금계산기를 활용해
세금 계산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1. 퇴직금 세금 계산, 이렇게 진행돼요

퇴직금에 붙는 세금은 일반 월급과 달리 평균과세 방식으로 계산해요.
즉, 내가 일한 기간을 기준으로 세금을 나눠서 계산하는 거예요.

퇴직소득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1. 퇴직소득금액 = 퇴직급여 – 비과세 소득
  2. 근속연수공제 적용
  3. 환산급여 계산
    →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공제) ÷ 근속연수 × 12
  4. 환산급여공제 적용
  5. 퇴직소득 과세표준 산출
  6. 과세표준에 기본세율 적용 → 환산산출세액 계산
  7. 최종 산출세액 = 환산산출세액 ÷ 12 × 근속연수

TIP
왜 이렇게 복잡할까요?
퇴직금은 여러 해 동안 일한 보상을 한 번에 받는 돈이에요.
그래서 근속연수에 따라 세금을 나눠서 계산하는 겁니다.


2. 두 가지 핵심 공제만 기억하세요

퇴직금 세금에서 중요한 건 공제를 얼마나 받느냐예요.
대표적인 공제는 두 가지예요.

① 근속연수공제 (1차 공제)

근속한 기간이 길수록 세금을 적게 내도록 해주는 제도예요.

근속연수 공제액 계산
5년 이하 1년당 100만원
10년 이하 500만원 + (근속연수-5)×200만원
20년 이하 1,500만원 + (근속연수-10)×250만원
20년 초과 4,000만원 + (근속연수-20)×300만원

② 환산급여공제 (2차 공제)

근속연수공제 후 남은 금액에서 추가로 빼주는 공제예요.

환산 급여 구간 공제액
800만원 이하 전액 공제
7,000만원 이하 800만원 + (환산급여-800만원)×60%
1억원 이하 4,520만원 + (환산급여-7,000만원)×55%
3억원 이하 6,170만원 + (환산급여-1억원)×45%
3억원 초과 1억5,170만원 + (환산급여-3억원)×35%

3. 예시로 보는 퇴직금세금계산기 활용

조건

  • 근속연수: 20년
  • 퇴직급여: 1억 원
  • 비과세 소득: 없음

계산 과정

  1. 퇴직소득금액 = 1억 원
  2. 근속연수공제 = 1,500만원 + (20-10)×2,500,000 = 4,000만원
  3. 환산급여 = (1억 – 4,000만) ÷ 20 × 12 = 3,600만원
  4. 환산급여공제 = 800만 + (3,600만-800만)×60% = 2,480만원
  5. 퇴직소득 과세표준 = 3,600만 – 2,480만 = 1,120만원
  6. 환산산출세액 = 1,120만원 × 세율 6% = 672,000원
  7. 최종산출세액 = 672,000 ÷ 12 × 20 = 112만원

즉, 이 조건에서 퇴직소득세는 약 112만원이에요.
지방소득세(10%)를 합치면 약 123만원 정도 납부하게 됩니다.


4. 퇴직금세금계산기 사용법 (홈택스 & 손택스)

① 홈택스 PC에서 사용하기

  1. 홈택스 접속
  2. 상단 메뉴 → 모의계산퇴직소득세액 계산
  3. 퇴직급여, 근속연수, 비과세 여부 입력
  4. 자동으로 예상 세액 확인 가능

② 손택스(모바일)에서 사용하기

  1. [손택스 앱] 실행
  2. 모의계산 메뉴 → 퇴직소득세액 계산 선택
  3. 동일한 항목 입력 후 결과 확인
  4. 예상 순수령액까지 바로 확인 가능

5. 2025년 달라진 퇴직금 세금 제도

2025년 현재, 세금 계산 방식에서 바뀐 점은 다음과 같아요.

  1. 환산급여공제 구조 조정
    → 고액 퇴직금일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도록 일부 공제 구간 변경
  2. 모바일 계산기 기능 강화
    → 손택스 앱에서 과거보다 더 정확하게 예측 가능
  3. 연금 계좌 이체 시 세금 우대
    → 퇴직금을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세율이 낮아지는 혜택 강화

6. 퇴직금세금계산기로 미리 대비해야 하는 이유

  • 예상 퇴직금을 미리 계산해 세후 실수령액을 파악
  • 연금계좌 이체 여부에 따른 절세 전략 세우기
  • 퇴직 직후 필요한 생활자금과 세금 납부 계획을 세울 수 있음

퇴직 직전에 확인하면 당황할 수 있으니,
퇴직 6개월 전부터 미리 계산해보는 걸 강력 추천드려요.


7. 퇴직금세금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

Q1. 세금이 너무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왜죠?
→ 근속연수가 짧거나 퇴직금이 크면 공제 혜택이 줄어 세금이 높아질 수 있어요.

 

Q2.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이 줄어드나요?
→ 네! 연금계좌로 이전해 분할 수령하면 연금소득세율이 적용돼 세부담이 훨씬 줄어요.

 

Q3. 계산기 결과와 실제 세금이 달라요. 왜죠?
→ 회사에서 신고하는 금액에 비과세 소득, 지방세 등이 포함되기 때문이에요.


8. 정리

  • 퇴직금세금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세금 계산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 근속연수와 퇴직급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예상 세액과 순수령액까지 계산됩니다.
  • ISA, IRP, 연금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도 있어요.

퇴직 전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
그게 바로 세후 자산을 지키는 첫걸음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