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프로의 투자전략/해외뉴스 브리핑 및 투자전략

[해외뉴스브리핑 및 투자전략] 기술주 하락 이후 반등 조짐? | S&P500·나스닥 선물 상승과 투자자 대응 전략

by Mr. Kim pro 2025. 4. 17.

최근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주 중심의 급락이 나타났고,
그 여파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급락 다음 날인 목요일(미국 기준),
S&P 500과 나스닥 선물이 상승세를 보이며 반등의 가능성도 나타났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시장 흐름을 정리하고, 앞으로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CNBC 뉴스 요약: 기술주 급락 이후 소폭 반등… 투자심리 회복 중?

25. 4. 17. CNBC 뉴스 기사 참조

 

S&P 500 and Nasdaq futures rise as traders try to recover from tech-led sell-off: Live updates

Major stock indexes sank on Wednesday, led by a significant decline in technology stocks and mounting tariff worries.

www.cnbc.com

 

  • S&P 500 선물: +0.6%
  • 나스닥-100 선물: +1%
  • 다우존스 선물: -0.7% (UnitedHealth 주가 19% 급락 영향)

전날에는 기술주 중심으로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 S&P 500: -2.2%
  • 나스닥 종합지수: -3.1%
    → 고점 대비 -19% 하락, 약세장 진입 직전
  • 다우 지수: -700포인트 하락

특히 **Nvidia(엔비디아)**는 중국 수출 제한으로 인한 55억 달러 손실을 발표하며 -6.9% 하락했고,
기술주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목요일,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발표하며 분위기 전환의 계기가 되었고,
투자심리가 다소 회복되는 모습입니다.


📌 경제 동향 분석 – 지금 시장에서 중요한 3가지 포인트

1. 기술주 중심의 조정 → 약세장 전환 우려

  • **‘약세장(Bear Market)’**이란?
  • 고점 대비 20% 이상 주가가 하락한 상태를 말해요.

나스닥은 현재 19% 하락한 상태로 거의 약세장에 도달한 상태이며,
이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성장주 투자심리 위축을 보여줍니다.

특히 Nvidia 같은 핵심 종목의 급락은 시장 전반의 분위기를 끌어내리는 주요 원인이 되죠.


2.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 확대 → 반도체 업종 불확실성 증가

미국 정부는 최근 Nvidia의 GPU(그래픽 처리 장치) H20 시리즈의 중국 수출을 막았습니다.
이로 인해 55억 달러(약 7.5조 원) 분기의 손실이 발생했고,
미중 기술 전쟁이 다시 부각되며 시장이 예민하게 반응했습니다.

💡 GPU는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에 필수적인 반도체로, Nvidia의 핵심 제품입니다.


3.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활 + 연준(중앙은행)의 고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다시 강화되며, 전 세계 무역 갈등과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관세는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고,
연준이 목표로 하는 **물가 안정과 고용 확대 사이에 긴장이 생길 수 있다”
고 밝혔습니다.

💡 연준(Fed):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금리와 통화를 조절해 물가 안정(인플레이션)과 고용을 동시에 목표로 삼고 있어요. 이걸 **‘이중 목표(Dual Mandate)’**라고 해요.

이 발언은 시장에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불러왔습니다.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 경기는 침체되고 있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
    투자자에게 가장 피하고 싶은 최악의 경제 환경이에요.

💡 투자 전략 – 지금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현재 시장은 매우 민감한 구간에 진입해 있습니다.
그만큼 투자 전략도 보수적이면서도 유연해야 합니다.

1. 기술주 비중은 줄이되, TSMC 등 실적 우량주는 선별 보유

  • Nvidia나 고성장 테마에 과도하게 쏠려 있다면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 하지만 TSMC,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실적 안정형 기술주는 보유 지속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2. 배당주 및 고배당 ETF 비중 확대

  • 고금리 + 경기 둔화 흐름에서는 현금흐름이 중요한 투자 전략입니다.
  • 예시:
    • 미국 ETF: SCHD, HDV, JEPI
    • 국내 ETF: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KOSEF 고배당 ETF

배당주 ETF는 하락장에서 변동성 방어정기적인 현금 확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3. 현금비중도 전략이다

  • 지금 같은 시장에선 일부 현금을 들고 있는 것도 중요한 방어 전략입니다.
  • 다음 매수 기회를 위한 유동성 확보로 보면 됩니다.

4. 환율과 금리 흐름 체크하면서 채권 ETF 일부 편입도 고려

  • 만약 연준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견디지 못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로 돌아설 경우,
    → **중장기 채권 ETF(TLT, KOSEF 국고채 10년 등)**는 반등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이번 기술주 급락과 반등은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니라, 글로벌 정책 리스크와 긴밀하게 연결된 신호입니다.
무역정책(관세), 인플레이션, 금리, 그리고 기업 실적이 동시에 영향을 주는 복합장세에서는
단순히 ‘떨어졌으니 매수’ 같은 접근보다는 분산, 절제, 타이밍 조절이 더 중요합니다.

시장은 불확실하지만, 정보에 기반한 전략은 언제나 당신의 리스크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흐름을 참고하시고, 당신만의 투자 기준도 꼭 점검해보세요.

 

이런 시기에 적용할만한 포트폴리오 구성은 아래 이전 발행글을 꼭 확인하세요^^

2025.04.06 - [김프로의 투자전략/주식 투자전략(배당주, ETF 등)] - [주식투자] 미국 금리·관세 리스크에도 끄떡없는 ETF(5종) 투자 전략

 

[주식투자] 미국 금리·관세 리스크에도 끄떡없는 ETF(5종) 투자 전략

​최근 세계 경제는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은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면적인 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로

dreamct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