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양국의 엇갈린 주장 속에서 우리가 세워야 할 투자전략은?

 

해외뉴스 CNBC ('24. 4. 24). 참조

Trump asserts trade talks with China are underway after Beijing denies any ongoing negotiations

 

Trump asserts trade talks with China are underway after Beijing denies any ongoing negotiations

The statement followed China's denial of any talks with the U.S. and calls for abolishing 'unilateral' tariff measures for resolving trade issues.

www.cnbc.com

 


🔍 주요 기사 요약 및 해석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기자회견에서 “오늘 아침에도 중국과의 회의가 있었다”며 무역협상이 진행 중임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회의 주체가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고, 구체적 언급은 피했습니다.

📌 중국의 공식 입장
반면 중국 상무부 대변인 허야둥은 “현재 중국과 미국 간 무역 및 경제 관련 협의는 전혀 없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또한 그는 “미국이 진정으로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양국의 최근 무역 긴장 고조

  • 미국은 최근 중국산 상품에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
  • 중국은 이에 맞서 중국산 희귀광물 수출 통제 강화, 보복 관세 부과 등 대응

📌 경제 전문가 의견

  •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유에 수(Yue Su):
    “중국은 더 이상 ‘미국이 원하는 것’보다는 ‘중국이 필요한 것’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고 평가
  • 나틱시스(Natixis)의 쉬젠웨이(Xu Jianwei):
    “미국이 의미 있는 협상을 원한다면 관세율을 20% 이하 수준으로 줄여야 할 것”이라고 진단

📌 중국의 대응 전략 강화
중국은 무역전쟁이 자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국 기업 보호 및 내수 중심 정책을 강화하는 중입니다.
이에 따라 중국 내수 소비 및 제조업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 뉴스가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이번 상황은 단순한 정치 뉴스가 아닌, 글로벌 공급망주요 산업의 주가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건입니다.

🔑 핵심 포인트 5가지

  1. 무역 불확실성 재부각 → 주식시장 변동성 상승
  2. 희귀광물 규제 → 반도체·배터리 산업 영향
  3. 관세 보복 장기화 가능성 → 글로벌 제조업 수익성 하락
  4. 중국 내수 강화 → 소비재·내수 관련주 수혜 가능성
  5. 정책 모멘텀에 따라 ‘방어주’ 혹은 ‘단기 수혜주’ 선택 필요

💡 우리가 취할 수 있는 투자 전략

① 단기 전략: ‘중국 희귀광물 공급 제한’에 따른 반사이익 업종 주목

  • 희토류 수출 통제는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공급망에 직접적인 타격을 줍니다.
  • 미국과 한국, 일본 기업들 중 희토류 의존도가 낮은 기업이나
    대체 소재 개발에 강점 있는 기업들이 단기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관련 수혜 종목 예시 (미국 상장)

  • MP Materials (MP): 미국 내 희토류 생산 기업
  • Albemarle (ALB): 리튬 및 대체 배터리 소재 기업
  • Texas Instruments (TXN): 공급망 안정성이 강한 반도체 업체

② 중기 전략: ‘중국 내수 확대’ 정책에 주목

  • 중국이 무역전쟁 장기화에 대비해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 소비와 자체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 중국 소비재, 의료, IT 서비스 등 내수 중심 산업에 투자하는 ETF 또는 글로벌 기업을 눈여겨보세요.

📌 관련 ETF 예시

  • KWEB (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 중국 내수 IT 플랫폼 기업 포함 (알리바바, 텐센트, JD 등)
  • CHIQ (Global X MSCI China Consumer Discretionary ETF)
    : 중국 소비재, 자동차, 전자 등 내수 중심 성장 기업 ETF

③ 방어적 접근: 글로벌 불확실성에 강한 고배당 우량주 보유

  • 지정학적 리스크가 클 땐 고배당 ETF나 우량 방어주가 버팀목 역할을 해줍니다.
  • 특히 필수소비재, 에너지, 리츠(부동산)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 전략이 유효합니다.

📌 추천 미국 고배당 ETF

  • VYM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
  •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 결론: 지금은 ‘지정학 리스크 + 산업 변화’의 전환점

현재 미중 간 무역 갈등은 단순한 협상 싸움이 아니라, 전략산업 패권을 둘러싼 치열한 전쟁입니다.
따라서 이번 뉴스는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혼란을 주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선택과 집중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회를 찾고 싶은 투자자라면,

  • 공급망 독립에 기여할 기업
  • 중국 내수 소비 수혜주
  • 글로벌 방어주 ETF
반응형
글 보관함